박람회, 전람회, 전시회 차이
이번글은 전시회 및 박람회의 차이를 알려 드릴거여욤~~
~~~^^
제가 운영하는 녹색창 블로그에도 같은 내용을 올리고 있지만 조금의 차별성을 두어야 할 것 같은데 아직 어떤 방법이 좋을지 찾고 있네요...
| 전시회(展示會) | 박람회 | 전람회 |
개요 | 특정 문화나 산업 혹은 개인의 업적을 소개하기 위하여 그에 관련된 각종 사물이나 상품을 진열해 놓은 모임을 말한다. 대개 일정한 기간을 정해 놓고 일정한 장소에서 진행된다. | 생산물의 개량ㆍ발전 및 산업의 진흥을 꾀하기 위하여 농업, 상업, 공업 따위에 관한 온갖 물품을 모아 벌여 놓고 판매, 선전, 우열 심사를 하는 전람회.(대한민국표준국어대사전의 정의) | 전람회(展覽會)는 일반적으로 박물관, 미술관에서 역사적 자료, 인물 자료, 공예·미술 작품 등을 공개하기 위한 전시 기획을 칭한다. |
기간,장소 | 일정한 기간 동안 일정한 장소에서 진행 | 장기간 특정된 장소에서 진행 | 대부분 단기간 & 박물관,미술관 같은 특정장소에서 진행 |
용어 | 전시회(展示會) / 일반적적인 영문 표현: ‘쇼(show)’, ‘페어(fair)’, ‘엑시비션(exhibition)’, ‘트레이드 페어(trade fair)’, ‘트레이드 쇼(trade show)’, ‘마켓(market)’, ‘살롱(salon)’, ‘샘플 페어(samples fair)’ ‘엑스포지션(exposition: 중세 라틴어의 ‘엑시비션넴-Exhibitionem-’에서 유래된 용어)’ 등이 있다 | 博覽會 / Exhibition or Exposition / Messe(독일어) | 전람회, 展覽會 exhibition |
종류 | 페어(fair): 휴일을 뜻하는 라틴어 ‘페리아(Feria, Holiday)’에서 유래해 본래 종교적 의례와 관련이 있는 모임을 뜻했으나, 중세시대에 상업적인 의미가 더해져 현대에 이르고 있다. 현재 페어는 전문적인 전시 주제를 가진 전시회로, 상업적인 색채가 강해지면서 일반인들의 관람을 제한하게 되고 기업과 기업의 거래에 초점을 맞춘 전문 전시회를 일컫는 용어로 정착되었다. (유럽: 무역 또는 교역을 의미하는 트레이드와 결합된 트레이드 페어라는 용어가 사용 북미 지역: 트레이드 쇼라는 표현이 주로 사용) 이그지비트(exhibit) 또는 엑시비션(exhibition): 일반인이 좀 더 폭넓게 참가하는 전시회로 이는 일반 관람객들의 전시회 입장이 부분적으로 허용되는 트레이드 페어와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본다(to see)’는 의미를 가리키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 종합박람회: 흔히 세계박람회라 부르며 국제박람회기구가 주최, 국가들은 전용 박람회장을 따로 건설한다. 특정품목 전문박람회(산업박람회, 무역박람회 등으로 불림): 일반적으로 각종 전시장에서 개최하여 컨벤션이나 박람회라 부른다. B2B와 B2C, C2C를 모두 담당한다. 주로 B2C가 많고 C2C와 B2B 부스를 추가 설치하는 식으로 운영한다. 상담위주 전문박람회: B2B 박람회이다. 소비자에 대한 접촉은 제한하고 업계사람들에게 자사의 제품을 직접 설명하며 수출, 수입 계약을 직접 진행하도록 돕는 박람회로 대표적으로 미국의 게임쇼인 E3가 있다. 소비자박람회: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박람회. B2C나 심지어 C2C도 있다. 대신에 전문박람회보다는 규모가 작으며 만화, 애니메이션, 취업박람회 가 있다. 단독전시회: 기업이나 국가 1개에서 자신들의 성과를 홍보할 목적으로 하는 박람회이다. 주로 소규모이며 B2B로 진행된다. | 소개,교육,선전 따위를 목적으로 물건이나 예술작품을 진열하여 여러 사람에게 보이는 행사로 미술관, 박물관 등에서 개최되며 일반인 대상이 대부분이다 |
댓글
댓글 쓰기